겨울철 차량관리 점검 방법
겨울철은 차량 운행에 어려움이 따르는 계절입니다. 겨울철은 기온이 낮고 눈이나 얼음이 쌓이는 경우가 많아 차량 운행에 어려움이 있는데요. 겨울에는 기온이 낮아 차량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눈이나 얼음이 쌓여 차량이 미끄러질 수 있습니다. 또한 겨울철에 사용하는 히터나 열선 등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불편함을 겪게 됩니다. 겨울철 차량관리 점검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배터리 점검
- 낭각수 점검
- 히터 점검
- 타이어 점검
배터리 점검
추운 날씨에는 히터 등 각종 전열기능 사용이 늘면서 전력소모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배터리 점검을 꼭 해주는 것을 권장합니다. 겨울철은 기온이 낮아 배터리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배터리 성능이 저하되면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차량의 전기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는데요. 운전 중에 차량의 전기 장치가 먹통이 되면 위험한 상황에 노출됩니다.
겨울철에는 배터리가 방전되기 쉬운 계절이므로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충전을 해주어야 합니다. 배터리 전압을 확인 했을때 배터리 전압이 12.6V 미만이면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배터리 점검은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해야 하고 배터리 단자를 만질 때에는 배터리 단자에 전류가 흐르고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냉각수 점검
겨울철에는 기온이 낮아 냉각수가 얼어붙을 수 있습니다. 냉각수가 얼어붙으면 엔진이 과열될 수 있는데요. 심한 경우에는 엔진이 손상될 수도 있습니다. 냉각수 탱크나 냉각수 호스 등의 누수 여부를 확인하고 냉각수 양이 부족하다면 냉각수를 보충해야 합니다. 겨울철에는 한 달에 한 번씩 냉각수 상태를 점검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냉각수 점검 시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해야 하는데요. 냉각수가 뜨거울 경우 화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그리고 냉각수를 보충할 때는 차량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냉각수를 사용해야 하고 냉각수가 오염되었거나 누수될 경우에는 전문 정비소에서 점검 및 교체를 받아야 합니다.
히터 점검
겨울철에는 히터 사용량이 늘어나는 계절입니다. 히터는 차량 내부에 따뜻한 공기를 공급하여 운전자와 승객의 쾌적한 주행을 도와주는데요. 히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차량 내부 온도가 낮아져 부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운전자의 주의력이 떨어져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히터를 작동시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고 히터 바람 세기가 너무 약하거나 강한 경우 점검이 필요합니다.
히터 내부와 필터에 이물질이 쌓이면 히터의 성능이 저하 될 수 있습니다. 히터 필터는 공기 중의 먼지와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데요. 이물질이 많아지면 히터로 유입되는 공기량이 줄어들어 히터가 제대로 가열되지 못하고 히터 바람 세기가 약해질 수 있습니다. 이물질이 쌓이면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할 수 있는데요.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하면 히터에 이상한 냄새가 나고 오염된 공기는 탑승자의 호흡기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타이어 점검
겨울철에는 노면이 얼어붙거나 미끄러운 경우가 많아 타이어의 접지력이 떨어지는데요. 타이어 마모도가 심하면 제동력과 주행 안정성이 떨어집니다. 타이어 마모 한계선은 타이어 옆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모 한계선까지 마모된 타이어는 교체를 해야 합니다. 타이어 공기압이 낮을 경우에도 접지력이 떨어지고 제동거리가 길어지게 되는데요. 타이어의 공기압은 차량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공기압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겨울철 에는 타이어 상태를 꼼꼼히 점검하여 안전운전을 위해 대비해야 합니다. 가능하면 겨울철에는 겨울용 타이어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겨울용 타이어는 노면의 접지력을 향상하기 위해 눈과 얼음에 미끄러지지 않는 고무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안전한 주행을 할 수 있습니다.
겨울철에는 차량 관리에 더욱 신경 써야하고 꼼꼼한 관리를 통해 안전하고 쾌적한 운전을 해야 합니다. 겨울철 차량관리는 마치 겨울옷 입기와 같습니다. 겉옷부터 속옷까지 꼼꼼히 챙겨야 따뜻하고 안전하게 겨울을 날 수 있습니다. 차량도 마찬가지입니다. 타이어부터 꼼꼼히 점검해야 안전한 겨울철 운전을 할 수 있습니다. 차량 관리에 자신이 없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올 겨울에는 차량 관리에 신경 써서 안전하고 쾌적한 겨울을 보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