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어깨통증은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겪는 문제 중 하나입니다. 어깨 통증은 크게 두 가지 이유로 나뉩니다. 잘못된 자세로 인해 어깨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고, 과도한 활동으로 인해 어깨근육에 부담감을 주어 통증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어깨에 심한 통증이 일어나면 어깨를 최대한 사용하지 않고 휴식을 해주고 염증을 완화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통증 원인

어깨 통증은 잘못된 자세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오랜 시간 동안 스마트폰, 컴퓨터를 사용하게 되면 화면을 보기 위해 머리와 목을 고정하고 몸을 앞으로 구부린 자세를 유지하게 됩니다. 이런 자세는 어깨와 목 근육에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주게 됩니다. 스트레스가 지속되면 어깨와 인접한 인대와 힘줄에 부담감을 주어 목, 어깨에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어깨통증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가급적이면 스마트폰 사용을 제한하는 게 좋습니다. 스마트폰 사용 할 때는 어깨를 뒤로 당겨 등을 올바르게 펴야 합니다. 30분에 한 번씩 스트레칭을 해서 어깨와 목 근육을 완화시켜 줍니다. 요즘에는 스마트폰을 TV에 연동시켜 크게 볼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TV에 연동해서 목을 편안하게 해 주세요.

 

 

어깨통증

 

통증을 유발하는 근육

  • 승모근 (Trapezius Muscles)
  • 삼각근 (Deltoid Muscles)
  • 견갑근 (Rotator Cuff Muscles)
  • 능형근 (Rhomboid Muscles)
  • 대흉근 (Pectoralis Major Muscles)

 

승모근 근육은 (Trapezius Muscles) 어깨와 목 상단 부분을 덮고 있는 근육입니다. 승모근은 어깨와 목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중요한 근육입니다. 앞으로 구부린 자세를 오랫동안 유지하면 승모근에 부하가 걸리고 잘못된 자세로 인해 과도한 스트레스를 주게 되어 목, 어깨에 통증을 주게 됩니다. 

 

삼각근 근육은 (Deltoid Muscles) 어깨 주변에 있는 근육 중 하나이며, 팔을 들어 올려주는 기능을 담당하는 근육입니다. 삼각근이 약하면 어깨관절의 안정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삼각근이 충분하게 팔을 들어 올리지 못하면 다른 근육들이 어깨 관절을 사용하기 위해 지나치게 사용되고 이로 인해 피로도를 느끼게 되어 어깨에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견갑근 근육은 (Rotator Cuff Muscles) 어깨관절을 안정화하고 위팔뼈의 회전 운동을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견갑근이 약하면 어깨 안정성이 감소되어 관절에 부담감이 증가하게 됩니다. 어깨 관절 주변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며 어깨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능형근 근육은 (Rhomboid Muscles) 견갑골을 안정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어깨를 뒤로 당겨 정렬시키는 역할을 하는 근육입니다. 능형근에 힘이 없으면 견갑골을 후방으로 당기지 못해 등근육의 밸런스가 깨지게 됩니다. 등근육에 균형이 깨지면 전면 근육의 과사용으로 인해 어깨 주변 근육과 인대에 손상을 입혀 어깨에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대흉근 근육은 (Pectoralis Major Muscles) 가슴근육으로 어깨와 팔의 움직임에 관여합니다. 대흉근이 짧으면 어깨를 뒤로 당기는 기능이 제한되어 후면근육과 균형이 깨지게 됩니다. 팔의 움직임 범위가 제한되면, 과도한 근육들의 사용으로 인해 어깨 주변 근육과 인대에 부담을 주어 어깨에 통증을 줄 수 있습니다.

 

어깨통증 3

스트레칭

통증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약한 근육은 운동을 통해 강화하고, 짧은 근육은 스트레칭, 마사지를 통해 근육을 이완해야 합니다. 근육이 짧아서 어깨에 통증을 유발하는 근육은 승모근, 대흉근, 광배근이 있습니다. 이 세 가지 근육을 매일 스트레칭, 마사지를 진행하여 근육들을 늘리면, 어깨뼈의 올바른 정렬로 인해 어깨통증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칭 영상

 

 

 

 

 

 

반응형
댓글